2020학년도 전체 학교폭력 7,181건중 사이버폭력 1,220건으로 17%
박찬대 의원, 2018학년도 9.7%, 2019학년도 8%에 비해 급격히 증가
“사이버폭력 증가는 비대면 수업이 이뤄지며 발생한 또 다른 교육문제”
지난해 발생한 학교폭력 중 사이버폭력이 두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. 대면수업이 이뤄지던 2018학년도 9.7%, 2019학년도 8%에 비해 급격히 증가해 사이버 학교폭력 예방교육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.
국회 교육위원회 박찬대 의원(더불어민주당, 인천연수갑, 사진)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‘최근 3년간 시·도교육청별 학교폭력 신고 및 조치사항’에 따르면, 지난해 3월부터 8월까지 발생한 전체 학교폭력 7,181건 중 사이버폭력은 1,220건으로 전체의 17%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지난해 발생한 학교폭력의 유형별 현황으로는 ▲신체폭력 2,536건(35.3%) ▲사이버폭력 1,220건(17%) ▲기타 1,198건(16.7%)▲언어폭력 1,124건(15.7%) ▲금품갈취 554건(7.7%) ▲강요 384건(5.3%) ▲따돌림 165건(2.3%)으로 사이버폭력이 신체폭력 다음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.
지역별로는 ▲서울 135건(18.2%) ▲경기 253건(20.9%) ▲인천 61건(17.5%) ▲강원 43건(12.5%) ▲충북 26건(10.3%) ▲충남 42건(12.4%) ▲세종 13건(26.5%) ▲대전 45건(22.6%) ▲전북 16건(12.7%) ▲전남 151건(15.7%) ▲광주 69건(18.8%) ▲경북 47건(13.8%) ▲경남 113건(13.9%) ▲대구 36건(18.7%) ▲울산 24건(11.1%) ▲부산 136건(22.1%) ▲제주 10건(16.9%) 이다.
박찬대 의원은 “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며 비대면수업이 활성화된 만큼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한 사이버 학교폭력의 비율 또한 급격히 증가했다”며 “인터넷과 SNS를 접하는 나이가 갈수록 어려지기 때문에 온라인에서도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사이버 학교폭력 예방교육 마련이 시급한 상황”이라고 밝혔다.
한편, 박 의원은 교육부와 함께 최근 급증한 사이버 학교폭력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폭력 개념의 명확화, 가해행위의 매개체 범위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관련 법개정에 나설 예정이다. 교육부도 유관부처-유관기관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사이버폭력 예방 및 대응 논의를 위한 부처·민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.
'핫 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호남교육신문] 무안·영암군장학회 ‘명문대생 장학금 폐지·개선’ 환영 (0) | 2021.03.15 |
---|---|
조오섭 의원 '공직자 부동산투기 근절 3법' 발의 (0) | 2021.03.14 |
장석웅 "수능성적으로 교원들 노력·성과 왜곡" 유감 (0) | 2021.03.08 |
순천 A여고 교감 '직권남용·인권침해·갑질의혹 감사' (0) | 2021.03.01 |
전남교육청 무상우유급식 "두유나 과즙은 안되요?" (0) | 2021.02.23 |